중이염이란? 


중이에 발생한 귀 감염증을 중이염이라고 합니다. 유스타키오관은 귀 속의 압력을 조절하고 귀에서 코로 체액을 배출시킵니다. 감기, 독감 또는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유스타키오관이 부어올라 중이에 체액이 고일 수 있습니다. 이렇게 고인 체액은 세균과 바이러스가 증식하는데 완벽한 환경이 될 수 있으며, 주로 염증을 동반한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중이염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중이염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주로 감기와 독감이 유행하는 가을과 겨울에 더 흔하게 나타납니다. 알레르기로 인한 염증과 울혈 역시 중이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꽃가루 알레르기 같은 계절성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꽃가루가 많은 계절에 알레르기 반응으로 코막힘과 염증이 유발될 수 있기 때문에 중이염의 위험이 더 클 수 있습니다. 

Ear Infection Symptoms

 중이염의 일반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귀의 통증 
  • 귀의 가려움
  • 귀앓이 
  • 열 
  • 귀에서 소리가 남 
  • 귀가 막히거나, 좁아지거나 꽉 찬 느낌 
  • 청력 저하 

중이염이 있는 유아와 소아의 경우, 과민성 증가, 수면장애, 귀를 잡아 당기거나 식욕 감퇴 등의 증상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Ear Infection Treatment

중이염 증상은 보통 처음 이틀 이내에 호전되며, 대부분의 감염은 치료 없이 1 ~ 2주 내에 사라집니다. 일부 근거 자료에 따르면, 어떤 아이에게는 항생제가 중이염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한편, 항생제를 너무 자주 사용하면 세균이 약물에 내성을 갖게 될 수 있습니다. 항생제 사용의 잠재적 이점과 위험성에 대해서는 의사와 상담하십시오.1

통증 관리를 위해 의사가 중이염에 의한 통증을 완화하는 치료법을 권할 수도 있습니다. 진통제와 항염증 약물이 여기에 해당하는 약물입니다.1 

What is chronic otitis media? 

만성 중이염은 천공이 없는 삼출성중이염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1 ~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2 만성 장액성 중이염이라고도 하며 증상이 장시간 지속되거나 자주 귀에 문제가 생기는 사람에서 일반적으로 수 년에 걸쳐 점차적으로 진행됩니다.

만성 중이염의 경고성 징후는 다음과 같습니다.3

  • 난청 
  • 만성 귀 분비물 
  • 지속적인 귀 막힘 
  • 균형 감각 이상 
  • 안면 근육 약화 
  • 지속적인 귀 심부 통증 또는 두통 
  • 발열 
  • 혼돈 또는 졸림 
  • 분비물 또는 귀 뒤쪽 부종 

중이염은 심한 통증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치료 시기를 놓치면 영구적인 청력 장애를 포함한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4

Chronic Otitis Media Triggers and Causes 

만성 장액성 중이염 문제는 대부분 감염과 관련이 있지만, 알레르기 민감화는 이 질환 재발의 위험 인자가 될 수 있습니다. 만성 장액성 중이염 환자의 약 20%가 원인이 되는 기저 알레르기가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또한 만성 중이염과 알레르기 질환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습니다.6

Is it an allergy or something else?

그렇다면 알레르기가 중이염의 원인 중 하나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증상 발현 시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고 이 사실을 의사에게 알려 관련된 감작 알레르기 항원을 파악할 수 있는 검사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식별된 알레르기 항원을 피하여 환자를 증상 역치 미만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포괄적인 관리 계획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만성 중이염과 알레르기가 함께 진단되는 경우 잠재적 유발인자를 피하는 것이 가능한 관리 전략일 수 있습니다.7 

혈액검사와 함께 알레르기를 중심으로 환자의 병력을 확인하면 기저 알레르기 항원 유발 요인을 알아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이해를 위한 도구

 

알레르기 증상을 추적하고 의사와의 상담을 준비하십시오.

특정 알레르기 항원에 관해 일반적인 증상과 관리 및 완화 방법을 알아보십시오. 

의료 전문가이십니까? 수백 가지 알레르기 항원과 항원 성분 전체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얻으십시오.

  1. Mayo Clinic, “Ear infection(middle ear),”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ear-infections/diagnosis-treatment/drc-20351622 (2021년 8월 27일 접속).  
  2. Qureishi A, Lee Y, Belfield K, Birchall JP, Daniel M. Update on otitis media – prevention and treatment. Infection and Drug Resistance. 2014;7:15-24. doi:10.2147/IDR.S39637.  
  3. University of Maryland Medical Center[인터넷]. Baltimore(MD): University of Maryland Medical Center; 2021. 출처: https://www.umms.org/ummc/health-services/hearing-balance/services/ear-infections.
  4. World Health Organization: Chronic suppurative otitis media Burden of Illness and Management Options. http://www.who.int/pbd/publications/Chronicsuppurativeotitis_media.pdf. 2019년 4월 접속 
  5. Tomonaga, K, Kurono, Y, Mogi, G. The role of nasal allergy in otitis media with effusion. A clinical study. Acta Otolaryngol Suppl. 1988;458:41-47.  
  6. Passali D, Passali GC, Lauriello M, Romano A, Bellussi L, Passali FM. Nasal Allergy and Otitis Media: A real correlation? Sultan Qaboos University Medical Journal. 2014;14(1):e59-e64.  
  7. Zernotti ME, et al. Otitis media with effusion and atopy: is there a causal relationship? World Allergy Organ J. 2017; 10(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