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르기 항원 정보 시트

캐슈넛 알레르기 항원 정보, 증상, 치료

Food
Food
Allergy Insider

캐슈넛

캐슈넛과 같은 견과류 알레르기는 흔하고 주로 중증을 일으킵니다. 이러한 종류의 알레르기는 보통 2세까지 발생하며, 나이가 들수록 더 많은 견과류에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1 나무 견과류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의 약 30%는 두 가지 이상의 견과류에 알레르기가 있습니다. 땅콩은 실제로 콩과 식물로 땅콩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의 약 20 ~ 30%는 하나 이상의 나무 견과류에 알레르기가 있습니다.2 실제로 땅콩과 나무 견과류는 식품 관련 아나필락시스 사망자의 70 ~ 90%를 차지합니다. 나무 견과류 알레르기의 유병률은 연령, 지역 및 진단에 사용되는 정의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인구의 0.05 ~ 7.3%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불행히도 다른 식품 알레르기보다 이러한 알레르기를 극복할 확률은 낮으며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 중 약 10%에서만 증상이 사라집니다.1

호두, 아몬드, 피스타치오, 캐슈넛, 피칸, 헤이즐넛, 마카다미아, 브라질넛, 잣 등의 9가지 종류가 나무 견과 알레르기의 대부분을 차지합니다1 단백질이 풍부한 캐슈넛은 수맥과에 속하는 상록수 관목이나 나무에서 수확하며, 두툼하고 휘어진 콩 모양이어서 나무 콩이라고 불리지만 실제로는 먹을 수 있는 씨앗입니다.3 캐슈넛은 영양이 풍부하면서도 알레르기의 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나무 견과류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에 대한 미국 자료에 따르면, 20%의 사람들이 캐슈넛에 알레르기가 있으며 나무 견과류 알레르기의 두 번째로 흔한 원인입니다.1

캐슈넛은 어디에서 발견됩니까?

캐슈넛은 아시아 요리, 제과 품목, 사탕류, 아이스크림, 버터, 케이크, 초콜릿 및 페스토 등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1,8 또한 태국, 인도 및 중국 요리에는 캐슈넛이 들어갑니다.8 음식의 질감을 개선하기 위해 캐슈넛은 비교적 비싼 잣의 대체용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4

다음 품목은 견과류 및 씨앗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4 구운 음식, 베이킹 믹스, 바비큐 및 페스토 소스, 시리얼, 초콜릿, 프랄린, 크래커, 드레싱, 그레이비, 향이 첨가된 커피, 냉동 디저트, 뮤즐리, 누가트, 아몬드 치킨, 팟타이, 칠리, 송어 아만딘과 지안두야(예: 헤이즐넛이 혼합된 초콜릿), 마지팬(예: 아몬드 페이스트), 아몬드 우유, 견과류 우유, 견과류 오일, 스프레드(예: 치즈 스프레드 및 헤이즐넛이 들어간 누텔라와 같은 초콜릿 너트 스프레드), 채식 요리, 인도 커리, 아시아 요리, 파스타, 리큐어(예: 아마레토 및 프란젤리코), 천연 풍미 및 추출물(예: 순수한 아몬드 추출물), 샐러드, 트레일 믹스, 스낵 식품.

또한 "천연 풍미"와 "식물성"이라는 단어는 견과류나 견과류 향이 있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6 아시아 레스토랑은 종종 요리에 견과류와 씨앗류를 자주 사용하고 프라이팬을 여러 식사 준비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교차 오염의 위험이 있어 특히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9

견과류가 들어있을 수 있는 비식품 상품에는 4 콩 주머니, 새 씨앗, 화장품, 헤어 케어 제품, 자외선 차단제, 마사지 오일, 반려동물 사료 등이 있습니다.

의료인과 함께 다음 방문을 준비하십시오. 

증상 추적기를 작성하십시오.

특이 IgE 검사에 대해 알아보기

더 읽어보기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다른 항원이 있습니까?*

캐슈넛 알레르기가 있는 일부 사람들은 관련이 없어 보이는 다른 식품을 섭취하는 경우에도 증상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는 교차 반응이라고 하며, 신체의 면역체계가 다른 물질에 있는 단백질이나 성분을 구조적으로 유사하거나 생물학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식별하여 반응을 유발할 때 발생합니다. 캐슈넛과 관련된 가장 일반적인 교차 반응은 나무 견과류, 과일, 대두, 채소, 콩과 식물과 같은 식물성 식품에서 나타납니다.4

캐슈넛과 피스타치오는 유사한 알레르기 단백질을 공유하므로 캐슈넛에 반응하는 사람들은 피스타치오에도 반응하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4 캐슈넛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은 향신료로 쓰이는 적후추(브라질후추, 장미 후추, 크리스마스 딸기)에 알레르기가 있을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적후추는 흑후추와 다릅니다.)5

캐슈넛 또는 기타 관련 신선 과일, 생채소 또는 견과류를 섭취한 후 입이나 귀가 가렵거나 목이 따끔거리거나 입에 두드러기가 생기거나 입술, 입, 혀 또는 목이 붓는 경우 구강 알레르기 증후군(OAS)이라고도 불리는 꽃가루 식품 알레르기 증후군(PFAS)일 수 있습니다. 이 증상은 식품 및 꽃가루에서 발견되는 유사한 단백질 또는 성분에 대한 면역계의 반응으로 인해 발생합니다.7 PFAS는 매우 흔하며, 한 연구에서는 알레르기 비염(건초열)이 있는 소아의 최대 25%가 이 증상을 앓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0 캐슈넛 OAS와 관련된 일반적인 꽃가루 알레르기 항원으로는 나무 꽃가루(예: 자작나무)와 잔디, 잡초 꽃가루 등이 있습니다.4

모든 형태의 캐슈넛을 피해야 합니까?

캐슈넛은 각기 다른 특성과 증상을 유발할 위험 수준이 다른 유형의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고온에서 원인 단백질을 분해하기 때문에 광범위하게 가열(조리/구이)하는 경우 몇몇의 사람들은 캐슈넛을 견딜 수 있습니다. 다른 환자의 경우, 캐슈넛은 단백질이 열에 안정적이고 잠재적으로 아나필락시스라고 하는 심각한 상황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완전히 피해야 합니다. 특정 위험 프로필은 알레르기가 있는 캐슈넛의 단백질에 따라 다릅니다.4

해당 제품은 특정 국가에서 임상 용도로 사용이 승인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의료인과 협력하여 검사 가능 여부를 파악하십시오.

알레르기 관리 방법

실수로 견과류를 먹거나 서로 다른 견과류 종 사이에 교차 오염이 발생하는 일이 흔하기 때문에 식단에서 모든 견과류를 배제하는 것이 알레르기 관리에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모든 나무 견과류를 피할지, 아니면 알레르기가 있는 나무 견과류만 피할지에 대해서는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1 다음과 같은 관리 방법을 추천할 것입니다.11-14

  • 성분 라벨의 식품 및 비식품 제품에 대한 "포함" 경고표를 주의 깊게 읽고 어떤 형태로라도 알레르기 항원을 함유하고 있는 모든 식품과 제품을 피하십시오. 이러한 목록과 성분표는 제품 포장의 동일한 면에 있지 않을 수 있으며 제조업체에서 원료를 자주 바꾼다는 점도 유의하십시오. 성분표가 없는 경우 해당 품목을 피하는 것이 안전을 위해 최선입니다.
  • 조리할 때는 알레르기 환자를 위해 조리 기구와 식기 세트를 따로 사용하여 교차 오염을 피하십시오. 모든 접시와 식기는 사용하는 중간에 뜨거운 비눗물로 씻으십시오.
  • 실수로 알레르기 항원을 섭취한 경우 귀하와 타인이 취해야 할 조치 목록과 함께 행동 계획을 세우십시오. 계획 사본을 인쇄해서 가지고 다니십시오.
  • 식당에서는 주방장과 알레르기에 대해 상의하고 어떤 형태의 알레르기 항원도 포함되지 않은 간단하게 조리된 음식을 주문하십시오. 디저트는 식품 알레르기 유발 물질을 포함하거나 접촉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피하십시오
  • 식품 알레르기가 관리되고 비상약이 항상 준비되어 있는지 사전에 계획을 세우십시오.
  • 어떤 알레르기가 있는지 알레르기 항원을 식별하는 의료용 ID 팔찌를 착용하십시오.
  • 권장 또는 응급 약품은 항상 휴대하십시오.
  • 식품 알레르기가 있는 소아에게 어떤 음식을 피해야 하는지 가르쳐 주십시오. 보호자와 학교 직원과 협력하여 알레르기 항원에 대한 노출을 제거하거나 줄이고, 증상 치료를 위해 약물을 언제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이해하도록 합니다.

의료인은 다음 약물 중 하나를 복용하도록 지시할 수 있습니다.

  • 아나필락시스(아래 참조)라고 하는 급성 중증의 징후가 있는 경우 에피네프린 자동 주입기를 사용합니다. 비상 시 가족 구성원이 대처 방법을 알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 보조제로서의 항히스타민제는 경미한 증상(예: 가려움증)을 완화하는 데 유용할 수 있지만 알레르기 반응의 진행을 멈추게 하지는 않습니다.
  • 기관지 확장제(Bronchilator, albuterol)는 호흡기 증상, 특히 기관지 수축(bronchospasm) 또는 천식(asthma) 병력이 있는 환자의 호흡기 증상 보조 치료법입니다.

알레르기 반응이 있고 쇼크의 징후가 보이는 사람과 함께 있다면 빠르게 행동하십시오. 피부가 창백하고 차갑고 축축한지, 맥박이 약한지 빠른지, 호흡곤란, 혼란, 의식 상실이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즉시 다음을 수행하십시오.

  • 현지 응급 구조대에 전화하십시오.
  • 환자가 다리를 위로 올리고 누워 있는지 확인합니다.
  • 아나필락시스의 분명한 징후가 있으면 즉시 에피네프린을 투여하십시오.
  • 해당 환자의 맥박과 호흡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CPR 또는 기타 응급 조치를 실시하십시오.

알레르기 관련 정보와 관리 방법에 대한 조언이 필요하십니까?

"알레르기를 가지고 살기" 섹션을 확인해보십시오.

주요 증상

견과류 알레르기 증상은 보통 섭취 후 수 분 내에 발생하며, 두드러기에서 아나필락시스까지 다양할 수 있습니다. 생명에 위협이 되는 반응이며, 호흡 곤란을 일으키고 쇼크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2,6 실제로 나무 견과류 알레르기는 아나필락시스의 18~40%를 차지합니다. 이 심각성은 많은 사람들이 견과류를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특히 문제가 됩니다. 예를 들어, 한 연구에서 나무견과류 알레르기가 있는 참가자의 절반만이 본인에게 알레르기가 있는 모든 종류의 견과류를 정확하게 확인했습니다.1

나무견과류 알레르기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6

  • 복통, 경련, 메스꺼움 및 구토
  • 설사
  • 삼키기 어려움(연하장애)
  • 입, 목, 눈, 피부 또는 다른 부위의 가려움
  • 코막힘, 콧물
  • 숨가쁨
  • 아나필락시스, 잠재적으로 생명을 위협하는 사건

나무 견과류의 알레르기 반응은 또한 꽃가루 식품 증후군(PFS)과 꽃가루 식품 알레르기 증후군(PFAS)의 형태로 자작나무 꽃가루에 대한 교차 반응에 의해 유발될 수 있습니다.2,7

식품 알레르기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7

  • 입의 가려움 및 입 두드러기
  • 목구멍이 따끔거림
  • 입술, 입, 혀, 목구멍이 부어오름
  • 귀의 가려움

알레르기가 있는지 어떻게 알 수 있습니까?*

증상 병력과 함께, 피부단자검사 또는 특이 IgE 혈액 검사를 통해 특정 알레르기 항원에 대해 알레르기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진단을 받은 경우 전문의와 상담하여 관리 계획을 세워보세요.

해당 제품은 특정 국가에서 임상 용도로 사용이 승인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의료인과 협력하여 검사 가능 여부를 파악하십시오.

심각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까?

증상을 유발하는 각 알레르기 항원에 포함된 단백질 또는 성분을 알면 관리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를 염두에 두고 증상 병력을 바탕으로 전문의는 귀하가 반응하는 다른 꽃가루와 식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특이 IgE 성분 검사를 제안할 수 있습니다.4

특이 IgE 성분항원 검사 결과가 이미 있으십니까?

성분항원 검사 결과에는 성분 이름(일련의 문자와 숫자)이 포함됩니다. 결과에 대해 의사와 상담할 수도 있지만 여기서는 참조용으로 간단히 확인할 수 있는 세부 정보를 안내해 드립니다. 증상 관리와 관련하여 각 성분 이름의 의미를 확인하려면 아래 목록에서 성분 이름을 찾아 매치시키십시오.4

rAna o 3

  • 일반적으로 중증 반응 또는 아나필락시스의 위험이 있습니다.
  • 열과 소화효소에 안정적입니다. 익히거나 굽거나 생 캐슈넛을 먹을 때에도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rBet v 2(프로필린)

  • 보통 경미하고 국소적인 증상과 관련이 있으며, 대부분 OAS 입니다.
  • 꽃가루(예: 자작나무, 오리나무, 개암나무, 참나무, 서어나무, 너도밤나무), 잔디 꽃가루, 생식물성 식품(예: 토마토, 멜론, 감귤류 과일, 바나나, 파인애플, 감, 주키니, 토마토) 등에 대한 교차 반응으로 인해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열과 소화효소에 민감하며, 익힌 헤이즐넛 또는 구운 캐슈넛은 먹을 수도 있습니다.

MUXF3(CCD)

  • 헤이즐넛에 대한 특이 IgE가 양성이면서 동시에 MUXF3 CCD(Cross-reactive Carbohydrate Determinant) 성분항원 검사에서만 유일하게 양성으로 나타나는 경우에는 증상의 원인이 캐슈넛이 아닌 다른 것일 수 있습니다.

검사 결과는 의료인이 임상 병력을 고려하여 해석해야 합니다. 의료인이 추가 관리에 대한 최종 진단 및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해당 제품은 특정 국가에서 임상 용도로 사용이 승인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의료인과 협력하여 검사 가능 여부를 파악하십시오.

  1. Weinberger T, Sicherer S. Current perspectives on tree nut allergy: a review. J Asthma Allergy. 2018 Mar 26;11:41-51. doi: 10.2147/JAA.S141636 PMID: 29618933, PMCID: PMC5875412. 제공: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875412/pdf/jaa-11-041.pdf.
  2. McWilliam V, Koplin J, Lodge C, Tang M, Dharmage S, Allen K. The Prevalence of Tree Nut Allergy: A systematic review. Curr Allergy Asthma Rep. 2015 Sep;15(9):54-81. 10.1007/s11882-015-0555-8. PMID: 26233427.
  3. Encyclopedia Britannica [Internet]. Chicago: Encyclopedia Britannica Inc.; 2020 Apr 7. 제공: https://www.britannica.com/print/article/97939.
  4. EAACI, et al. Molecular allergology user's guide. Pediatr Allergy Immunol. 2016 May;27 Suppl 23:1-250. do: 10.1111/Pai.12563. PMID: 27288833. (245-254 p.) 제공: http://www.eaaci.org/documents/Molecular_Allergology-web.pdf.
  5. Food Allergy Research & Education www.foodallergy.org McLean, VA: Food Allergy Research & Education www.foodallergy.org 제공: https://www.foodallergy.org/living-food-allergies/food-allergy-essentials/common-allergens/tree-nut.
  6. American College of Allergy, Asthma, & Immunology. http://acaai.org/resources/connect/ask-allergist/Allergy-Testing. Arlington Heights, IL: American College of Allergy, Asthma, & Immunology. http://acaai.org/resources/connect/ask-allergist/Allergy-Testing. 제공: https://acaai.org/allergies/types/food-allergies/types-food-allergy/tree-nut-allergy.
  7. American College of Allergy, Asthma, & Immunology. http://acaai.org/resources/connect/ask-allergist/Allergy-Testing. Arlington Heights, IL: American College of Allergy, Asthma, & Immunology. http://acaai.org/resources/connect/ask-allergist/Allergy-Testing. 제공: https://acaai.org/allergies/types/food-allergies/types-food-allergy/oral-allergy-syndrome.
  8. Van der Valk JP, Dubois AE, Gerth van Wijk R, Wichers HJ, de Jong NW. Systematic review on cashew nut allergy. Allergy. 2014;69:692-8. doi: 10.1111/all.12401. Epub 2014 Jan 15. PMID: 24734868. 제공: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epdf/10.1111/all.12401Va
  9. Lomas JM, Järvinen KM. Managing nut-induced anaphylaxis: challenges and solutions. J Asthma Allergy. 2015 Oct; 29(8):115-23. 10.2147/JAA.S89121 PMID: 26604803; PMCID: PMC4631427. 제공: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631427/pdf/jaa-8-115.pdf.
  10. Roberts, G., Xatzipsalti, M., Borrego, L., Custovic, A., Halken, S., Hellings, P., Papadopoulos, N., Rotiroti, G., Scadding, G., Timmermans, F., Valovirta, E. Pediatric rhinitis: 발로바이러스, E. Position paper of the European Academy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Allergy. 2013 Sep;68(9):1102-16.
  11. American College of Allergy, Asthma, & Immunology. http://acaai.org/resources/connect/ask-allergist/Allergy-Testing. Arlington Heights, IL: American College of Allergy, Asthma, & Immunology. http://acaai.org/resources/connect/ask-allergist/Allergy-Testing 제공: https://acaai.org/allergies/types-allergies/food-allergy/food-allergy-avoidance.
  12. Harvard Health Publishing [Internet]. Boston, MA: Harvard Medical School: 2020. 제공: https://www.health.harvard.edu/healthbeat/6-tips-for-managing-food-allergies.
  13. Mayo Clinic [Internet]. Rochester, MN: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MFMER); 2019-2017. http://www.mayoclinic.org/first-aid/first-aid-insect-bites/basics/art-20056593. 제공: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anaphylaxis/symptoms-causes/syc-20351468.
  14. Wright BL, Walkner M, Vickery BP, Gupta RS. Clinical Management of Food Allergy. Pediatr Clin North Am. 2015 Dec;62(6):1409-24.Doi: 10.1016/J. PCL.2015.07.012. Epub 2015 Sep 7. PMID: 26456440, PMCID: PMC4960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