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나무
알레르기 항원 정보, 증상, 치료


참나무(참나무 속)는 약 450 종의 관상용 나무와 목재 나무와 관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1 바람을 통해 상당한 양의 꽃가루를 퍼뜨리게 되는데, 이는 심각한 알레르기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2,3 북반구 전체에 널리 분포하는 참나무는 건초열(알레르기 비염) 증상의 주요 원인인 꽃가루를 생성합니다.4,5

참나무는 어디에서 발견됩니까?

도시, 주거 및 산림 지역에 서식하는 참나무는 북미, 서인도, 중미, 유라시아, 아프리카 및 남미 일부 지역에 흩어져 있습니다.2,4

의료인과 함께 다음 방문을 준비하십시오. 

증상 추적기를 작성하십시오.

특이 IgE 검사에 대해 알아보기

더 읽어보기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다른 항원이 있습니까?*

참나무 알레르기가 있는 많은 환자들은 나무, 잡초, 잔디 꽃가루와 같은 다른 알레르기 항원에 노출될 때에도 증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꽃가루가 날리는 계절이 겹칠 때에는 어떤 꽃가루가 증상을 유발하는지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이것을 교차 반응이라고 하며, 신체의 면역체계가 다른 물질의 단백질이나 기타 성분을 구조적으로 유사하거나 생물학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식별하여 반응을 유발할 때 발생합니다. 참나무 꽃가루 알레르기와 관련된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다른 호흡기 알레르기 항원으로는 자작나무, 오리나무, 개암나무, 너도밤나무 꽃가루가 있습니다.10

신선한 과일, 생채소를 섭취한 후 입이나 귀가 가렵거나 목이 따끔거리거나 입에 두드러기가 생기거나 입술, 입, 혀 또는 목이 붓는 경우 구강 알레르기 증후군(OAS)이라고도 불리는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알레르기 증후군(PFAS)일 수 있습니다. 이 증상은 다양한 알레르기 항원에 있는 유사한 단백질 또는 성분에 대한 면역계의 반응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OAS는 매우 흔하며 알레르기 비염(예: 건초열)이 있는 소아의 최대 25%가 이 알레르기 증후군을 앓습니다.7 참나무 꽃가루 OAS와 관련된 일반적인 식물성 식품에는 사과, 체리, 복숭아, 헤이즐넛, 땅콩, 당근, 셀러리, 콩, 딸기 등이 포함됩니다.10

해당 제품은 특정 국가에서 임상 용도로 사용이 승인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의료인과 협력하여 검사 가능 여부를 파악하십시오.

알레르기 관리 방법

알레르기 비염의 관리에는 관련 알레르기 항원 회피, 증상 치료, 알레르기 면역요법 등이 포함됩니다.7-9

  • 매일 지역 꽃가루 수를 확인하고 꽃가루 수가 많을 때 외출 시간을 제한하십시오. 비는 공기 중의 꽃가루를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되므로 외출하기에 가장 좋은 시간은 비가 온 직후입니다.
  • 가능한 한 야외 활동을 다른 사람에게 맡기고 외부 일을 해야 하는 경우 꽃가루 차단을 위한 마스크를 착용합니다. 
  • 창문을 닫고 에어컨을 사용하십시오.
  • 뜨거운 비눗물로 최소 일주일에 한 번 침구를 세척하십시오.
  • 야외 활동 후에 옷을 세탁하고 야외에서 건조하는 대신 건조기에서 모든 옷을 건조 시킵니다.
  • 침대에 꽃가루가 들어가지 않도록 매일 자기 전에 머리를 감고 목욕을 하십시오.
  • 반려 동물을 집에 들여보내기 전, 꽃가루를 제거하기 위해 털어주거나 씻겨주십시오.
  • 집에 들어가기 전에 모든 사람이 신발을 벗도록 하십시오.
  • 검증된 천식 및 알레르기 공기 필터를 사용하십시오.
  • 항히스타민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충혈 완화제 및 식염수 세척제 등 약물적 치료.
  • 의료인이 처방한 알레르기 면역치료.

알레르기 관련 정보와 관리 방법에 대한 조언이 필요하십니까?

"알레르기를 가지고 살기" 섹션을 확인해보십시오.

주요 증상

참나무 알레르기 증상은 다른 많은 꽃가루 알레르기와 유사할 수 있으며, 다음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6,7

  • 재채기
  • 코막힘
  • 콧물
  • 눈물
  • 목과 눈 가려움
  • 쌕쌕거림

참나무에 민감하고 천식을 앓고 있는 경우, 나무 꽃가루가 기침 및 쌕쌕거림과 같은 천식 증상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6,7

알레르기가 있는지 어떻게 알 수 있습니까?*

증상 병력과 함께 피부단자검사 또는 특이 IgE 혈액 검사를 특정 알레르기항원에 감작하는지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진단을 받은 경우 전문의와 상담하여 관리 계획을 세워보세요.

해당 제품은 특정 국가에서 임상 용도로 사용이 승인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의료인과 협력하여 검사 가능 여부를 파악하십시오.

꽃가루가 날리는 계절

나무 꽃가루는 봄에 흔하게 나타납니다.6

  1. Encyclopedia Britannica [Internet]. Chicago: Encyclopedia Britannica Inc.; 2019 Mar 27. Available from: https://www.britannica.com/plant/oak.
  2. Pollen.com [Internet]. Plymouth Meeting, PA: IQVIA Inc.;2020. 제공: https://www.pollen.com/research/genus/quercus.
  3. Snyder M. Northern Woodlands [인터넷]. Lyme, NH: Northern Woodlands; 2009 Apr 20. Available from: https://northernwoodlands.org/articles/article/why_are_some_trees_pollinated_by_wind_and_some_by_insects.
  4. Nixon KC. Flora of North America. |place unknown|: Flora of North America Association; 2019 Jul 26 [2020 May 28]. 제공: http://beta.floranorthamerica.org/Quercus.
  5. Ross AM, Corden JM, Fleming DM. The role of oak pollen in hay fever consultations in general practice and the factors influencing patients' decisions to consult. Br J Gen Pract. 1996 Aug 46(409):451-5 PMID: 8949322, PMCID: PMC1239713.
  6. American College of Allergy, Asthma, & Immunology. http://acaai.org/resources/connect/ask-allergist/Allergy-Testing. Arlington Heights, IL: American College of allergy, asthma & Immunology; 2014 [2018 Apr 23]. 제공: https://acaai.org/allergies/types/pollen-allergy.
  7. Roberts, Graham & Xatzipsalti, M & Borrego, Luis & Custovic, Adnan & Halken, Susanne & Hellings, Peter & Papadopoulos, Nikolaos & Rotiroti, G & Scadding, Glenis & Timmermans, Frans & Valovirta, Erkka. (2013). Paediatric rhinitis: Paediatric rhinitis: position paper of the European Academy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Allergy. 68. 10.1111/all.12235.
  8. Asthma and Allergy Foundation of America. Arlington, VA: Asthma and Allergy Foundation of America; 2019 Apr 9. 제공: https://community.aafa.org/blog/tips-for-preventing-allergic-reactions-to-tree-and-grass-pollen.
  9. Mayo Clinic [Internet]. Rochester, MN;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2020 Apr 16. 제공: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hay-fever/in-depth/seasonal-allergies/art-20048343.
  10. Matricardi PM, Kleine-Tebbe J, Hoffmann HJ, Valenta R, Hilger C, Hofmaier S, Aalberse RC, Agache I, Asero R, Ballmer-Weber B, Barber D, Beyer K, Biedermann T, Bilò MB, Blank S, Bohle B, Bosshard PP, Breiteneder H, Brough HA, Caraballo L, Caubet JC, Crameri R, Davies JM, Douladiris N, Ebisawa M, EIgenmann PA, Fernandez-Rivas M, Ferreira F, Gadermaier G, Glatz M, Hamilton RG, Hawranek T, Hellings P, Hoffmann-Sommergruber K, Jakob T, Jappe U, Jutel M, Kamath SD, Knol EF, Korosec P, Kuehn A, Lack G, Lopata AL, Mäkelä M, Morisset M, Niederberger V, Nowak-W?grzyn AH, Papadopoulos NG, Pastorello EA, Pauli G, Platts-Mills T, Posa D, Poulsen LK, Raulf M, Sastre J, Scala E, Schmid JM, Schmid-Grendelmeier P, van Hage M, van Ree R, Vieths S, Weber R, Wickman M, Muraro A, Ollert M. EAACI Molecular Allergology User's Guide. Pediatr Allergy Immunol. 2016 May;27 Suppl 23:1-250.Doi: 10.1111/Pai.12563. PMID: 272888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