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 독
알레르기 항원 정보, 증상, 치료


많은 유형의 곤충과 곤충 유사 벌레가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지만 가장 일반적인 종류는 벌, 말벌, 호박벌, 땅벌, 불개미입니다.1 전체 인구의 56.6%~94.5%가 한 번 이상 벌목 곤충(독을 방어 기제로 주입하는 곤충)에 물린 적이 있다고 합니다.2 따라서 환자가 어떤 유형의 곤충에게 물렸는지 확신할 수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특이 IgE 혈액 검사가 특히 중요합니다.3

전형적인 쏘임 반응은 통증, 염증, 발적, 가려움증 등으로 그리 위험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전신 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며 가벼운 경우는 담마진(두드러기), 혈관부종(피부 아래에 종창) 등, 중간 정도인 경우 위장관 증상, 어지러움, 호흡곤란, 그리고 심각한 경우에는 의식 상실, 호흡정지 또는 심정지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2 실제로, 일반인 중 최대 7%가 곤충에 쏘였을 때 즉각적으로 전신 반응이 나타났으며, 곤충 독 알레르기는 성인에서 아나필락시스의 가장 주된 원인 중 하나입니다.3,4

곤충 독은 어디에서 발견됩니까?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곤충으로는 벌, 말벌, 호박벌, 땅벌, 불개미가 있습니다.1 꿀벌은 온실 내 식물 수분에 많이 이용되지만 꿀벌독에 대한 알레르기는 여전히 드뭅니다.2 어디에서나 발견할 수 있는 꿀벌은 보통 사람을 쏜 후에 벌침을 남겨두는데, 벌침 주머니는 독이 다 빠지거나 제거될 때까지 계속해서 피부에 독을 주입합니다. 이와 달리 말벌, 호박벌, 땅벌, 불개미는 반복해서 쏠 수 있습니다.3,4,5 땅말벌은 일반적으로 땅과 벽에 벌집을 만들지만, 말벌과 호박벌은 건물과 관목, 나무에 집을 만듭니다. 쏘는 곤충은 늦은 봄과 초가을 사이에 가장 활발하게 활동합니다.5

같은 종의 곤충도 지역에 따라 이름이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갤리쿠스 도미눌라(gallicus dominula), 불가리스 게르마니카 루파(vulgaris germanica rufa), 미디어 색소니카(media saxonica)는 모두 유럽에서 말벌(wasp)로 알려져 있지만 미국에서는 이들 종을 각각 쌍살벌(paper wasp), 땅말벌(yellow jacket), 호박벌(hornet)이라고 합니다.3

마디 개미라고도 하는 불개미는 남미 토종 곤충이지만 호주, 북미, 뉴질랜드를 비롯하여 카리브해와 아시아, 유럽의 일부 국가에서도 발견됩니다. 호주의 경우 잭 점퍼(jack jumper) 개미와 그린 헤드(green-head) 개미가 쏘는 개미 중에서도 가장 많이 발견되는 두 종이며, 잭 점퍼 개미는 민감해진 사람 중 2~3%에서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킵니다. 동아시아에서는 왕침 개미(Pachycondyla chinensis)와 같은 날개 달린 특수한 개미가 심각한 아나필락시스의 위험을 초래합니다. 드물지만, 아나필락시스를 포함한 중증 반응은 호주 진드기(Australian tick), 키스 벌레(kissing bug) 등의 무는 곤충에 의해서도 유발될 수 있습니다.7

의료인과 함께 다음 방문을 준비하십시오. 

증상 추적기를 작성하십시오.

특이 IgE 검사에 대해 알아보기

더 읽어보기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다른 항원이 있습니까?*

다양한 꿀벌 종의 알레르기 항원은 서로 유사하며 호박벌의 독은 벌꿀의 독과 유사합니다. 따라서 두 가지 모두 교차 반응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3 또한 불개미 벌독의 특정 성분이 땅벌, 꿀벌, 말벌 등의 알레르기 항원과 교차 반응을 일으킵니다.7

벌독 알레르기 환자 중 최대 59%가 꿀벌 독과 말벌 독에 대해 둘 다 양성 반응을 보입니다. 이들 중 일부는 실제로 이중 양성이지만(즉, 두 유형의 벌독에 모두 민감함), 그 외의 다른 환자들은 관련성이 없는 CCD(Cross-reactive Carbohydrate Determinants)로 인한 교차 반응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8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이중 양성과 임상적 연관성이 없는 교차 반응을 구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9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각 알레르기 항원의 단백질 또는 성분을 알면 어떤 유형의 곤충 독이 유발 요인인지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의사는 이러한 사실과 증상 병력을 바탕으로 알레르기 진단에 도움이 되는  특이 IgE 알레르기 항원 성분 검사를 제안할 수 있습니다. 이 검사를 통해 관리 계획을 세우고 면역치료가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3

특이 IgE 성분항원 검사 결과가 이미 있으십니까?

성분항원 검사 결과에는 성분 이름(일련의 문자와 숫자)이 포함됩니다. 의료인이 귀하와 함께 결과를 검토할 수도 있지만 여기에선 참조로 사용할 수 있는 세부 정보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증상 관리와 관련하여 각 성분 이름의 의미를 확인하려면 아래 목록에서 성분 이름을 찾아 매치시키십시오.3,10,11

Api m 1, Api m 2, Api m 3, Api m 5, Api m 10(꿀벌)

  • 한 가지 또는 여러 성분에 양성이면 꿀벌에 대해 특이 민감성이 있는 것입니다.
  • 이런 환자에 대해서는 꿀벌독 면역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Ves v 1, Ves v 5(일반 말벌)

  • 한 가지 또는 두 성분 모두에 대해 양성이면 일반 말벌(땅말벌)에 대한 민감성이 있는 것입니다.
  • 이런 환자에 대해서는 일반 말벌독 면역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Pol d 5(쌍살벌)

  • 쌍살벌에 민감성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 환자에 대해 쌍살벌독 면역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MUXF3(CCD)  

  • 꿀벌, 일반 말벌 또는 쌍살벌에 대한 특이 IgE 검사 결과와 더불어 MUXF3 CCD(Cross-Reactive Carbohydrate Determinant)가 유일하게 양성으로 나타난 성분 검사인 경우, 쏘는 곤충 독이 증상의 원인이 아닐 수 있습니다. 이 범주 중 하나 또는 둘 이상과 더불어 CCD가 동시에 양성이면 다른 종에 대한 교차 반응 민감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트립타제

  • 트립타제는 알레르기 반응에서 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면역 반응에서도 활성화된 비만 세포로부터 히스타민 및 기타 화학 물질과 함께 분비되는 효소입니다. 트립타제 검사는 응급(반응 후 몇 분 또는 1~2시간 이내) 및/또는 기초 검사로 실시할 수 있습니다.
  • 심각한 쏘임 반응 병력이 있는 모든 환자는 기본 혈청 트립타제 검사를 통해 트립타제 농도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환자는 심각한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일으킬 위험이 있기 때문에 병력 확인을 통한 식별과 예방 조치가 매우 중요합니다.

해당 제품은 특정 국가에서 임상 용도로 사용이 승인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의료인과 협력하여 검사 가능 여부를 파악하십시오.

알레르기 관리 방법

의사는 다음과 같은 관리 방법을 추천할 것입니다.2,5,12-14

  • 뚜껑이 없는 쓰레기통과 야외에서 먹다 남은 음식물에는 말벌이 꼬이기 쉬우므로 주의합니다. 두 가지 모두 뚜껑을 씌워야 합니다.
  • 풀밭에서는 꿀벌과 호박벌이 흰토끼풀에 앉아있을 수 있으므로 샌들을 신거나 맨발로 걸어서는 안 됩니다.
  • 날아다니는 곤충을 발견하면 쏘일 수 있으니 때려 잡지 말고 조심해서 한쪽으로 쓸거나 사라지기를 기다려야 합니다.
  • 야외에서는 컵, 열린 캔, 빨대에 곤충이 들어 있지 않은지 확인합니다.
  • 달콤한 향기, 헤어 스프레이, 향수, 데오도란트를 피하고 벌을 유인할 수 있는 밝은 색상이나 꽃무늬가 있는 옷은 입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차량 창문이 닫혀 있고 가정의 창문과 출입문 차양의 상태가 양호한지 확인합니다.
  • 살충용 미끼를 사용하여 불개미 더미를 제거합니다.
  • 곤충에 쏘였을 때 중증 반응이 나타나고 도움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근처에 있는 사람에게 바로 이 사실을 알립니다.
  • 전문가를 불러 주택 근처의 벌집 등을 모두 제거합니다.
  • 꿀벌이 다른 벌들을 유인하는 화학물질을 분비할 수 있으므로, 벌에 쏘이면 일단 건물 안이나 차 안으로 들어가야 합니다.
  • 모기향과 같은 방충제는 쏘는 곤충에게는 효과가 없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대부분의 환자에게 벌독 알레르기 치료 효과가 있는 벌독 특이 면역치료를 권장합니다.

담당 의사는 알레르기 증상 개선을 위해 다음 약물 중 하나를 처방하거나 특정 조치를 취하도록 안내할 수 있습니다.

  • 벌에 쏘인 후 20~30초 내에 벌침을 제거하여 벌독이 체내에 최대한 퍼지지 않도록 합니다. 피부에 벌독이 더 들어가지 않도록 벌침을 손가락으로 집지 말고 긁어내듯이 제거합니다.
  • 얼음 마사지로 쏘인 부위가 붓지 않도록 하고, 팔이나 다리에 쏘인 경우에는 해당 부위를 높이 올린 자세로 있는 것이 좋습니다.
  • 아세트아미노펜이나 이부프로펜과 같은 진통제를 사용합니다.
  • 항히스타민제, 얼음, 하이드로코르티손 크림, 칼라민 로션으로 가려움증을 조절합니다.
  • 국소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연고와 경구용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하면 불개미에 쏘인 후의 가려움증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곤충 독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는 만약을 대비해 아드레날린/에피네프린 자동주사기를 포함한 응급 키트를 휴대하고 있어야 합니다.

함께 있는 사람이 알레르기 반응과 쇼크 징후를 보인다면 신속하게 대응해야 합니다. 맥박이 약하고 빠르게 뛰는지, 호흡곤란이 있는지, 피부가 차갑고 축축하며 창백한지, 착란이 있는지, 의식이 흐려지는지 확인하십시오. 즉각 취해야 할 조치:

  • 현지 응급 구조대에 전화하십시오.
  • 환자가 다리를 위로 올리고 누워 있는지 확인합니다.
  • 아나필락시스의 분명한 징후가 있으면 즉시 에피네프린을 투여하십시오.
  • 해당 환자의 맥박과 호흡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CPR 또는 기타 응급 조치를 실시하십시오.

알레르기 관련 정보와 관리 방법에 대한 조언이 필요하십니까?

"알레르기를 가지고 살기" 섹션을 확인해보십시오.

주요 증상

쏘임 반응 심각도는 개인에 따라 다르지만 전형적인 반응은 쏘인 부위에 제한된 통증, 부기, 발적 등입니다.5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쏘인 직후나 1~2 시간 이내 또는 몇 시간 후에 심한 국소 종창이 발생할 것인데 2~48시간동안 커지다가 3~10일 후에 없어질 것입니다.4 부기가 해당 부위 바깥으로 확장되는 대형 국소 반응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5

불개미에 쏘이면 그 부위에 혹이 생기고 가려울 수 있는데, 이런 증상은 보통 30~60분 안에 사라집니다. 그 후 4시간 안에 작은 물집이 생기고 고름 같은 죽은 세포 조직이 그 자리를 채웁니다. 물집을 터트리지 않는 한 감염 위험은 매우 낮습니다.5

전신 반응의 확률은 낮지만, 발생할 경우 다음과 같은 경증, 중등도, 중증 반응이 있습니다.2,4

경증 반응은 보통 피부와 피하조직에 나타납니다.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4

  • 전신 홍반
  • 두드러기(담마진)
  • 안구 주위 부종(부운 눈)
  • 혈관부종(피하 종창)

중등도 반응은 호흡기, 위장관 또는 심혈관 침범을 특징으로 하며, 그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4

  • 호흡곤란
  • 그렁거림, 쌕쌕거림
  • 구역, 구토, 복통
  • 가슴 또는 목이 답답함
  • 어지러움

중증 반응은 다음과 같습니다.2,4

  • 청색증(산소 공급이 부족해 나타나는 증상으로, 주로 피부색이 파래짐)
  • 혈압 강하(저혈압)
  • 착란
  • 흥분
  • 허탈
  • 아나필락시스 쇼크

곤충 독 알레르기는 아나필락시스를 유발할 수도 있으며, 그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6

  • 기도 수축, 혀 또는 목의 종창, 쌕쌕거림 또는 숨가쁨
  • 어지러움, 실신
  • 구역, 구토, 설사
  • 가려움, 두드러기, 빨갛거나 창백한 피부 등의 피부 반응
  • 저혈압
  • 약하고 빠른 맥박

증상의 심각도는 몸 상태(피로 등), 노령, 비만 세포 장애, 성별(남성)과 같은 다양한 위험 요인 및 동반인자에 의해 높아질 수 있습니다.2 경증의 전신 반응을 보인 성인 중 약 10%가 다시 쏘였을 때 더 심한 반응을 나타냅니다. 처음 쏘였을 때 중증도에서 중증의 반응을 경험한 환자의 약 45%가 이후에 다시 쏘였을 때 증상이 더 심하지 않다고 보고했습니다.7 드물기는 하지만, 혈청병 유사 증상, 길랭-바레 증후군, 혈관염 등의 반응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2

알레르기가 있는지 어떻게 알 수 있습니까?*

증상 병력과 함께 특이 IgE 혈액 검사가 특정 알레르기 항원에 감작하는지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진단을 받은 경우 전문의와 상담하여 관리 계획을 세워보세요.

해당 제품은 특정 국가에서 임상 용도로 사용이 승인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의료인과 협력하여 검사 가능 여부를 파악하십시오.

심각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까?

곤충 독 알레르기는 성인에서 가장 빈번한 아나필락시스 유발 요인에 속합니다.3 일반인의 1~7%가 곤충에 쏘인 후 즉각적인 전신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추정됩니다.4 또한, 중증 아나필락시스의 약 20%와 48%가 각각 벌독에 쏘인 소아와 성인에게서 발생합니다. 곤충 쏘임으로 인한 아나필락시스 사망은 일반적으로 노출 후 15~20 분 내에 발생합니다.2

  1. Asthma and Allergy Foundation of America. Arlington, VA: Asthma and Allergy Foundation of America; 2015 Oct. 제공: https://www.aafa.org/insect-allergy.
  2. Blank S, Grosch J, Ollert M, Bilò MB. Precision medicine in hymenoptera venom allergy: Diagnostics, biomarkers, and therapy of different endotypes and phenotypes. Frontiers in Immunology. 2020;11. 제공: https://www.frontiersin.org/articles/10.3389/fimmu.2020.579409/full.
  3. Zaluzec et al. Molecular allergology user’s guide Zurich, Switzerland: European Academy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2016. p. 255-58, 266, 268-69. 제공: http://www.eaaci.org/documents/Molecular_Allergology-web.pdf.
  4. Heddle R. World Allergy Organization [인터넷]. Milwaukee, WI: World allergy Organization; 2008 Nov [2015 Aug]. 제공: https://www.worldallergy.org/education-and-programs/education/allergic-disease-resource-center/professionals/allergy-to-insect-stings-and-bites.
  5. American College of Allergy, Asthma, & Immunology. http://acaai.org/resources/connect/ask-allergist/Allergy-Testing. Arlington Heights, IL: American College of Allergy, Asthma & Immunology; 2018 Feb 5. 제공: https://acaai.org/allergies/types/insect-sting-allergy.
  6. Mayo Clinic Anaphylaxis 2 [인터넷]. Rochester, MN: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MFMER); 2019-2017. http://www.mayoclinic.org/first-aid/first-aid-insect-bites/basics/art-20056593. 제공: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anaphylaxis/symptoms-causes/syc-20351468.
  7. Korošec P, Jakob T, Harb H, Heddle R, Karabus S, de Lima Zollner R, Selb J, Thong BY, Zaitoun F, Golden DBK, Levin M. Worldwide perspectives on venom allergy. World Allergy Organ J. 2019 Oct 24;12(10):100067. doi: 10.1016/j.waojou.2019.100067. PMID: 31700565, PMCID: PMC6829763. 제공: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6829763/pdf/main.pdf.
  8. Eberlein B, Krischan L, Darsow U, Ollert M, Ring J. Double positivity to bee and wasp venom: improved diagnostic procedure by recombinant allergen-based IgE testing and basophil activation test including data about cross-reactive carbohydrate determinants. J Allergy Clin Immunol. 2012 Jul;130(1):155-61. doi: 10.1016/j.jaci.2012.02.008. Epub 2012 Jan 14. PMID: 22421265. 제공: https://www.jacionline.org/article/S0091-6749(12)00271-0/fulltext.
  9. Kosnik, M., Korosec, P. Importance of basophil activation testing in insect venom allergy. All Asth Clin Immun 5, 11 (2009). 제공: https://aacijournal.biomedcentral.com/track/pdf/10.1186/1710-1492-5-11.pdf.
  10. Blank S, Bilò MB, Ollert M. Component-resolved diagnostics to direct in venom immunotherapy: Important steps towards precision medicine. Clin Exp Allergy. 2018 Apr;48(4):354-364. doi: 10.1111/cea.13090. Epub 2018 Feb 14. PMID: 29331065. 제공: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10.1111/cea.13090.
  11. LabCorp [인터넷].  Burlington, NC: Labcorp; 2021. 제공: https://www.labcorp.com/help/patient-test-info/tryptase.(Accessed Nov 2021.)
  12. Mayo Clinic [Internet]. Rochester, MN: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2020 Aug 6. 제공: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bee-stings/symptoms-causes/syc-20353869.
  13. InformedHealth.org [인터넷]. Cologne, Germany: Institute for Quality and Efficiency in Health Care (IQWiG); 2006-. Insect venom allergies: Short-term and long-term treatment. [업데이트 날짜: 2020년 5월 7일]. 제공: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447119.
  14. Mayo Clinic Anaphylaxis 2 [인터넷]. Rochester, MN: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MFMER); 2019-2017. http://www.mayoclinic.org/first-aid/first-aid-insect-bites/basics/art-20056593. 제공: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anaphylaxis/diagnosis-treatment/drc-20351474.